10월 23일 [19:00] 대한항공 vs 한국전력 > 배구 분석

본문 바로가기

배구 분석

10월 23일 [19:00] 대한항공 vs 한국전력

레벨 토토사관학교
12시간 1분전 155 0

본문

10월 23일 【 V-리그 】 대한항공 VS 한국전력 배구분석 무료중계 스포츠분석 관련 이미지

✅ 대한항공

대한항공은 카일 러셀의 화력 중심 공격에 의존하는 비중이 크다.

그의 오픈 공격은 파워풀하지만, 세터와의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정지석은 안정된 리시브와 볼 연결 능력을 갖췄지만, 최근 경기에서는 세컨볼 처리 부담이 높아지며 체력 소모가 누적되고 있다.

정한용은 블로킹 타이밍에서 상대 속공 루트를 예측하는 감각이 탁월하지만,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타점 유지가 흔들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최준혁의 디그 커버 능력은 좋지만, 빠른 속공 대응 시 위치 이동 속도가 다소 늦다.

대한항공은 여전히 러셀 중심 전개로 득점 루트를 단순화시키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세터의 볼 배분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대 블로커에게 노출되는 장면이 잦다.

결국, 대한항공의 공격 밸런스는 러셀의 컨디션에 따라 경기 흐름이 좌우되는 구조다.


✅ 한국전력

한국전력은 리시브 라인의 안정성이 높은 팀이다.

특히 베논과 서재덕이 후위에서도 안정적으로 볼을 받아내며, 세터가 트랜지션 상황에서도 볼을 낮게 유지해 사이드 공격으로 곧바로 연결시킨다.

그래서 상대는 세트플레이 타이밍을 예측하기 어렵고, 공격 리듬이 끊기지 않는다.

김정호는 중거리에서 빠르게 타점을 잡으며 코스를 찢는 스파이크를 자주 구사한다.

에디는 블로킹 전환 속도가 빠르고, 중앙에서 측면으로 빠지는 라인을 완벽하게 커버한다.

이들의 조합으로 인해 한국전력은 한 번 리시브 라인을 구축하면 공격까지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든다.

그리고 세터의 판단이 빠르기 때문에 세트 후반에도 볼 분배가 안정적이다.

결국 한국전력은 템포 유지력과 라인 밸런스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다.


✅ 프리뷰

이 경기는 리시브 안정성과 트랜지션 속도 싸움이 핵심 변수다.

대한항공은 러셀의 화력에 의존하는 단조로운 공격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상대 블로킹이 익숙해질수록 득점 효율이 떨어진다.

반면 한국전력은 세터의 빠른 판단과 낮은 볼 유지력으로 템포를 계속 이어간다.

특히 베논과 서재덕이 리시브 라인을 안정시켜 세트 중반 이후에도 흔들림이 없다.

한국전력은 후위 리시브와 세터 연계 모두에서 완성도가 높기 때문에 경기 전체 리듬을 컨트롤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수비 전환 속도도 빠르다. 상대의 강타를 디그로 받아 곧바로 사이드 공격으로 연결시키는 전환력은 리그 상위 수준이다.

결국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체력 유지와 조직력에서 우위에 있는 한국전력이 흐름을 가져갈 구도다.

대한항공이 초반 강타로 기선을 제압하더라도, 세트가 길어질수록 한국전력의 응집력이 빛날 가능성이 높다.


✅ 핵심 포인트

⭕ 대한항공은 러셀 중심 단조로운 전개로 상대 블로킹 예측에 취약하다!

⭕ 한국전력은 리시브 안정성과 트랜지션 연결 완성도가 높아 세트 후반까지 흐름을 유지한다!

⭕ 서재덕과 김정호의 사이드 득점 루트가 상대 블로킹을 흔들 가능성이 높다!

⚠️ 전술 밸런스와 후반 집중력, 그리고 리시브 라인의 완성도를 감안하면 한국전력이 주도권을 틀어쥘 흐름이다!


✅ 승부 예측 / 베팅 강도

[승/패] 대한항공 패 ⭐⭐⭐⭐ [강추]

[핸디] 핸디 패 ⭐⭐⭐ [추천]

[언더오버] 언더 ⭐⭐⭐ [추천]


✅ 마무리 코멘트

한국전력은 리시브 라인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세터-공격수 간의 연결이 매끄럽고, 세트 후반에도 공격 템포가 끊기지 않는다.

반면 대한항공은 러셀 의존도가 높아 패턴이 단조롭고, 블로킹 라인이 익숙해질수록 공격 성공률이 하락한다.

결국 이번 경기는 조직력과 응집력에서 앞서는 한국전력이 경기 후반 흐름을 지배할 가능성이 높다.

템포와 밸런스의 싸움에서 한국전력의 시스템이 한발 앞선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32 건 - 1 페이지
번호
제목
 
12시간 1분전
 
12시간 1분전
 
12시간 1분전
 
12시간 2분전
 
2025-10-21
 
2025-10-21
 
2025-10-19
 
2025-10-19
 
2025-10-17
 
2025-09-27
 
2025-09-27
 
2025-09-24
 
2025-09-24
 
2025-09-22
 
2025-09-22
 
2025-09-21
 
2025-09-21
 
2025-09-20
 
2025-09-20
 
2025-09-17
게시판 전체검색